2024 회사 프로젝트
첫 프로젝트
Kimjoy
2024. 10. 21. 16:14
첫번째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5월부터 거의 반년이 지났는데, 기록해 두지 않으면 계속 까먹게 되어서
사용한 기술과 초보개발자로서 내가 느낀 점을 간략하게 기록해보고자 한다.
백엔드 (BE)
- Python 3
- FastAPI: 파이썬도 처음이고, FastAPI도 처음 경험해 보아서 굉장히 어려웠지만, Swagger UI가 굉장히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더 효율적인 비동기처리를 위해 비동기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다.
- MSSQL
- sqlalchemy: 국비지원 학원에서 JPA를 경험해봤던 터라 ORM이 낯설지는 않았지만, 쿼리가 더 익숙했기 때문에 ORM을 사용하며 애를 먹었던 경험이 있어 조금 더 깊이 공부해 보고 싶다는 욕구가 생겼다.
- AD (Active Directory):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를 위해 Active Directory를 사용했다.
- LDAP: 사용자 인증 및 디렉터리 서비스에서 LDAP를 사용하여 Active Directory와 연동했다.
- Storefront: Citrix Storefront를 통해 가상 애플리케이션과 데스크탑을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했다.
- Keycloak: 통합 인증 시스템으로 Keycloak을 사용하여 OAuth2 인증 방식을 사용했다.
프론트엔드 (FE)
- Vue 3: 처음 도전해보는 프론트엔드 개발 언어라 굉장히 설렜었고, 컴포넌트를 만드는 것에 대한 기준이나 방법을 잘 몰라서 어려웠지만 데이터를 전달하고 이벤트를 만드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 Pinia: Vue3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는 말에 책을 구매해 공부했다. 책에서는 vuex로 store를 관리하고 있었는데 프로젝트는 pinia 사용 예정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상태관리 프레임워크를 공부할 수 있었다.
- Quasar Framework
- JavaScript/TypeScript: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를 함께 사용해서 타입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배포 (DevOps)
- Jenkins
- Harbor
- Docker
- Nginx
- HAProxy
여기서 나는 Vue3, Pinia, Quasar Framework, Javascript, Typescript를 사용한 UI작업과
FastAPI와 MSSQL, sqlalchemy를 이용한 간단한 백엔드 작업을 진행했다.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있었던 문제상황과 해결방법, 공부하게 된 것 등을 포스팅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