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20241218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일차

Kimjoy 2024. 12. 18. 23:58

데이터 -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최근에 디즈니플러스에서 조명가게라는 드라마가 나왔다.
회사 사람들과 이야기하다가 “조명이 켜져있는건 이승이고 조명이 꺼져있는건 저승이래요 되게 신선하지 않아요?”라고 말했는데
어떤 분이 컴퓨터같다고 해서 아….! 싶었던 일이 있었다.

컴퓨터는 0과 1로 모든 정보를 표현하고,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을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단위는 비트, 바이트,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테라바이트이다.
비트는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이다.
조명가게에서 조명으로 이승과 저승을 나타내는 것처럼
컴퓨터는 0과 1로 정보를 표현한다.
1비트는 2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2비트는 4개, 3비트는 8개로 2의 거듭제곱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데이터가 커지게 되면 비트 대신 다른 정보 단위를 사용할 수 있는데,
8개의 비트를 묶어 하나의 정보 단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이트이다.
1바이트는 8비트이고, 1바이트는 256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1000개의 바이트를 묶어 1킬로바이트(KB)라고 하고,
1000개의 킬로바이트를 묶어 1메가바이트(MB),
1000개의 메가바이트를 묶어 1기가바이트(GB),
1000개의 기가바이트를 묶어 1테라바이트(TB)라고 한다.

이진법
수학에서 0과 1만으로 모든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십진법과의 혼동을 예방하기위해 이진수 숫자 끝에 아래첨자 (2)를 붙이거나 이진수앞에 0b를 붙여 표현한다.
음수는 2의 보수로 표현할 수 있다.(0과 1을 뒤집고 1을 더하기)

십육진법
데이터를 표현할 때 15가 넘는 시점에 자리올림을 하는 숫자표현방법으로
1,2,3,4,5,6,7,8,9,A,B,C,D,E,F로 표현하고
숫자뒤에 아래첨자 (16)을 붙이거나 숫자 앞에 0x를 붙여 표현한다.
십육진법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이진수를 십육진수로, 십육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기 쉽기 때문이다.